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ncs 직업기초능력평가 영역 (의사소통, 수리, 문제해결, 자원관리능력 등)에 대하여

by ◈¿∀∮+ 2023. 5. 17.

NCS의 직업기초능력은 직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모든 직업인들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본적인 능력과 자질을 말하는 것으로, 실제로 취업 준비자들이 준비하는 ncs 시험은 직업기초능력평가 내용으로 구성된 문제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cs 직업 기초 능력 평가 영역 :  총 10가지 종류로 구성

NCS 기본 직업 능력은 총 10개(의사소통능력, 자원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조직이해능력, 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능력, 직업윤리)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 34개의 세부적 하위 능력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NCS 기본 직업 능력 총 10개 영역 및 34개 하위영역

 

이제 각각의 10개 영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의사소통능력 : 이 영역은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비언어적인 신호의 이해, 적극적인 청취, 효과적인 문서 작성 등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2. 자원관리 능력 : 이 영역은 시간, 돈, 자재 등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시간 관리, 재무 관리, 재고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3. 문제해결 능력 : 이 영역은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식별,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비판적 사고, 의사 결정, 창의적 문제해결 등이 포함됩니다.

4. 정보 능력 : 이 영역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접근, 평가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연구 기술, 데이터 분석, 정보 활용 능력 등이 포함됩니다.

5. 조직 이해 능력 : 이 영역은 조직의 구조와 문화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조직 내에서 작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조직의 목표 이해, 팀워크, 리더십 능력 등이 포함됩니다.

6. 수리 능력 : 이 영역은 수학적 개념과 기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기본 산수, 대수, 통계 등이 포함됩니다.

7. 자기개발 능력 : 이 영역은 지속적인 학습과 개인적인 발전에 참여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목표 설정, 자기 반성, 지속적인 개선 등이 포함됩니다.

8. 대인관계 능력 : 이 영역은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공감능력, 갈등 해결, 문화적 유창성 등이 포함됩니다.

9. 기술 능력 : 이 영역은 도구, 장비 및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컴퓨터 기술, 기계 작동, 기술적인 문제 해결 등이 포함됩니다.

10. 직업 윤리 : 이 영역은 직장에서 책임감 있고 윤리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하위 영역으로는 책임감, 시간 준수, 전문성 등이 포함됩니다.

 

ncs 기초 능력 평가의 시험 출제 방식

직업기초능력평가는 총 10개 영역의 기출은 공기업, 일반 기업, 공무원 시험 등 각 채용기관마다 채택하는 영역 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민건강보험공단 채용 공고를 살펴보면 ncs 시험에 행정직·건강직·요양직은 의사소통 20문항, 수리 20문항, 문제해결 20문항으로 구성된다고 나와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 채용공고 상에 기재된 NCS 직업기초능력 시험 내용



국민연금공단 공고에서는 사무직의 경우 의사소통, 문제해결,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정보능력, 직업윤리로 구성되며, 심사직은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자원관리능력, 직업윤리로 구성됨을 알 수 있습니다.

(사무직은 정보능력이, 심사직은 자원관리능력이 포함됩니다)

연금공단 채용공고 상에 기재된 NCS 직업기초능력 시험 내용


이처럼 각 채용기관마다 ncs의 어떤 능력 평가 기준이 출제되는지 채용공고를 보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 ncs 직업기초능력평가 영역 (의사소통, 수리, 문제해결, 자원관리능력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댓글